반응형
일론 머스크의 미친 생산성을 위한 6가지 법칙을 소개합니다.
트위터에서 언급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하나, 대규모 미팅은 피하라
둘, 미팅에 기여하는게 없다면 중간에라도 나가라.
셋, 명령체계는 잊어라
넷, 똑똑해 보이려하지 말고, 명확하게 할것
다섯, 미팅을 자주하지 말것
여섯, 상식적으로 해라
728x90
주요내용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고요..
- Tesla, SpaceX에서 사용하던 것을 이제 트위터 직원들에게도
#1 대규모 미팅은 피하라
- 참여자가 많은 미팅은 시간과 에너지의 낭비
- 토론을 방해
- 사람들을 방어적으로 만듦
- 모든 사람이 기여하기엔 시간이 부족
- 모든 사람에게 가치를 주는게 아니라면 대규모 미팅을 잡지 말 것
#2 미팅에 기여하는게 없다면 중간에라도 나가라
- 미팅이 당신의 "자료나 정보(Input), 가치,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미팅에 참여할 이유가 없음
- 미팅 중간에 나가는 것은 무례한게 아님. 사람들의 시간을 낭비하는게 무례한 짓
#3 명령 체계(Chain of Command)는 잊어라
- 동료들과 직접 대화할 것
- 슈퍼바이저나 매니저를 통하지 말 것
- 빠른 소통이 빠른 의사 결정을 만듦
- 빠른 의사결정은 곧 경쟁 우위임
#4 똑똑해 보이려 하지말고, 명확히 할 것
- 기술 용어(Technical Jargon)와 이상한 단어(넌센스)는 피할 것
- 이런 것들은 의사소통을 느리게함
- 간결하고(Concise), 요점을 설명하는(To the Point), 이해하기 쉬운 단어를 선택할 것
- 똑똑해보이려 하지 말고, 효율적으로 일할 것
#5 미팅을 자주하지 말 것
- 모든 사람의 시간을 낭비하는 데 이것보다 좋은게 없음
- 미팅은 '협업하고, 직면한 문제를 돌파하고, 긴급한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할 것
- 이슈가 해결되었다면, 자주 미팅하는 것은 더 이상 필요없음
- 대부분의 이슈는 미팅없이도 해결가능. 미팅 대신 '문자나 이메일을 보내거나, 슬랙/디스코드 채널에서 얘기할 것'
- 필요한게 아니라면 팀의 워크플로우를 방해하지 말 것
#6 상식적으로 해라
- 만약 회사 규칙이:
- 말이 안 되거나
- 일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안되거나
- 당신의 특정 상황에 맞지 않는 다면
-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됨
- 규칙이 아니라 원칙(Principle)을 따를 것
자세한 내용은 아래 트위터를 방문해 보시면 좋을것 같고요..
오늘의 블로그는 여기까지고요..
항상 믿고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