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아하는것_매직주식/0.주식이란무엇인가

주식투자자는 꼭 알아야할 엘리어트 이론의 핵심 5가지 (feat. 상승 5파동, 하락 3파동)

반응형

엘리어트 이론의 핵심

엘리어트 파동(상승 5파동/하락 3파동)


하나, 모든 작용에는 반드시 반작용이 있다.
 - 즉, 주가의 움직임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게되는데, 엘리어트 이론에서는 완벽한 주식의 움직임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 상승파동 : 5개
   - 하락파동 : 3개

둘, 파동은 2가지로 구분가능한데, 충격파동과 조정파동이 존재한다.
 - 충격파동이란, 주된 추세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을 말한다.
 - 조정파동이란, 추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을 말한다.

셋, 상승추세일경우, 1번파동, 3번파동, 5번파동이 충격파동으로 상승움직임을 나타낸다.
2번파동과 4번파동은 조정파동의 역할을 하게되어 하락 움직임을 보이게된다.

그리고, 5번파동까지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a/b/c  파동으로 구성되는 하락추세가 나타나게된다. 
 - 다시말하면, 해당 파동 중에서 a파동 / c파동은 충격파동으로 하락의 방향을
 나타내고, b파동은 조정파동으로 상승 움직임을 보인다.

넷, 주된 추세의 움직임을 짧을 경우 몇시간, 만약 길경우 몇백년에 걸쳐서 완성된다.
 - 주된 추세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반드시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된 조정파동이 이어지게된다.

마지막,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는 한개의 충격파동이 끝나고 이어서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조정파동이 마무리되면, 비롯소 하나의 사이클이 완성된다. 

그리고, 해당 사이클은 그보다 한 등급높은 단계인 파동의 1번및 2번파동을 구성하는 것이 된다.

 

간단한, 앨리어트 파동에 대한 정리 끝!

 

다음블로그에서는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한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