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Spring, Spring Boot App 시작하기 (spring-boot-starter-parent 구성, 1/4)
스프링 부트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요 과정은 아래와 같음. 하나, pom.xml 파일에 spring-boot-starter-parent를 설정함. (1/4) 둘, 필요한 starter project 로 pom.xml 파일을 구성함. (2/4) 셋,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위해, spring-boot-maven-plugin을 설정함. (3/4) 넷, 스프링 부트 실행 클래스를 만듬. (4/4) 그럼, spring-boot-starter-parent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아래 예시, pom.xml 을 유심히 보자 잠깐! 여기서 의문 한가지 ? ^^; 위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spring-boot-starter-parent 가 필요한 이유가 있을텐데 왜 필요할까? 정..
더보기
14.Spring, 스프링MVC의 핵심개념 중 모델속성(ModelAttribute)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스프링MVC의 핵심개념 중 모델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우리가 해야할일은 뭘까? 바로,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머리속에 정의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그럼, 한번 정의해보자. ModelAttribute 이 어떤 어노테이션인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스프링 MVC 에서 콘트롤러 웹브라우저가 Domain Model(객체) 로 넘겨주는데, 아래 2가지 케이스가 가능하다. 첫째, @RequestParam을 사용해서 파라미터를 한개씩 한개씩 받는 방법 둘째, @ModelAttribute을 사용해서, 스프링MVC에서 알아서 변환과정을 통해서 Domain Model(객체) 바인딩을 하는 방법 즉, 정리하자면, @ModelAttribute을 사용하면, 스프링MVC에서 알아서 변환과정을 통..
더보기